728x90

04_Git 15

[Git] 리모트, 로컬 브랜치 삭제

로컬 브랜치 삭제 01. git branch로 브랜치 목록과 삭제하고자 하는 브랜치 확인(삭제하고자 하는 브랜치는 선택되어 있으면 안됨) 02. 이하 command로 로컬 브랜치를 삭제git branch -d [로컬 브랜치명] 리모트 브랜치 삭제 01. git branch -a 로 전체 브랜치 목록을 확인(git branch -r 로 리모트 브랜치만 확인도 가능)git branch -r 02. 이하 command로 리모트 브랜치를 삭제git push origin -d [리모트 브랜치명]

04_Git 2025.05.27

[Sourcetree]Git GUI툴 다운로드 후 초기설정

Git GUI툴 Sourcetree 다운로드 후 초기설정 01. sorcetree 페이지에 접속https://www.sourcetreeapp.com/ Sourcetree | Free Git GUI for Mac and WindowsA Git GUI that offers a visual representation of your repositories. Sourcetree is a free Git client for Windows and Mac.www.sourcetreeapp.com 02. 「Download for Windows」클릭 (운영체제가 Mac인 경우에는 Mac용을 다운로드) 03. 최근 다운로드 기록을 클릭하거나 파일이 있는 경로에 들어가서 exe파일을 실행 04. 「건너뛰기」를 클릭 0..

04_Git 2025.05.13

[Github] Github에서 Repository만든 후 협업자 추가

Github에서 Repository 만든 후 협업자 추가 01. github페이지에 접속https://github.com/ GitHub · Build and ship software on a single, collaborative platformJoin the world's most widely adopted, AI-powered developer platform where millions of developers, businesses, and the largest open source community build software that advances humanity.github.com 02. 레포지토리명과 공개 설정을 입력한 후 「Create a new repository」를 클릭 03. Inv..

04_Git 2025.05.12

VsCode에서의 Git 초기세팅

VsCode에서의 Git 초기세팅   01. Terminal > New Terminal을 클릭 후 Terminal이 표시되면 GitBash를 선택  02. 「echo $HOME」 또는 「pwd」로 현재 디렉토리를 확인  03. 경로에 git폴더를 생성  04. 「cd git」으로 해당 폴더로 이동   05. 새로운 Git 저장소(repository)를 생성 git init    06. 로컬 Git 저장소에 원격(remote) 저장소를 추가git remote add origin    07. 현재 로컬 Git저장소에 연결된 원격(remote) 저장소 목록 확인git remote -v  08. 원격(remote) 저장소의 소스코드를 복제(clone)git clone     09. 원격 저장소의 하위 디렉토리로..

04_Git 2025.02.24

Git 글로벌 유저(Global User) 설정

Git 글로벌 유저(Global User) 설정  ● 모든 Git저장소에서 해당 정보가 기본적으로 사용되게 하기 위해 Global User설정 ●  커밋 기록 관리, 협업 시 기여 내역 추적, 기본 사용자 정보 적용을 위해 필요 ●  특정 프로젝트에서 다른 계정이나 정보를 사용하려면 --local 옵션을 활용 01. 커밋 기록에 사용자 정보 포함 Git는 커밋을 만들 때마다 해당 커밋을 수행한 사용자의 이름과 이메일을 기록함이를 통해 누가 어떤 작업을 했는지 추적할 수 있음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주소"이렇게 설정하면 이후 모든 Git저장소에서 해당 정보가 기본적으로 사용됨  02. 협업 및 기여 이력 관리..

04_Git 2025.02.24

github사용시, SSH Key 생성 및 등록방법

github사용시, SSH Key 사용 이유 및 사용방법 Github에 원격 저장소를 접근할 때, 보안과 편의성을 위해 SSH Key를 사용  1. 보안강화 ● SSH Key는 비밀번호보다 안전한 인증방식임 ● 암호화된 키 쌍(공개 키와 개인 키)을 사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므로, 비밀번호를 입력할 필요 없이 안전하게 로그인할 수 있음 ● 개인 키는 사용자의 로컬 환경에 저장되고, 공개 키만 GitHub에 등록됨  2. GitHub에서 비밀번호 인증 방식 제거 ● GitHub는 2021년 8월부터 기본 비밀번호를 사용한 Git인증을 폐지하고, 대신 SSH Key 또는 Personal Access Token(PAT)을 사용하도록 변경하였습니다. ● 따라서, SSH Key를 등록하지 않으면 HTTP 방식에서 매..

04_Git 2025.02.2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