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_Python

07_자료형>숫자 자료형

chuuvelop 2025. 1. 2. 23:39
728x90
- 숫자 자료형의 종류
    - 정수형(integer) : 소수점이 없는 숫자
        - 예) 0, 1, 273, -53
  
    - 실수형(floating point) : 소수점이 있는 숫자
        - 예) 0.0, 52.273, -1.2
     
- 주의점
    - 0과 0.0은 같은 크기를 표현하지만 소수점의 여부에 따라 숫자의 자료형이 달라짐

 

01. 정수형(Integer)
a = 123
b = -178
c = 0

print(a)
print(b)
print(c)

# type() : 자료형 확인하기
# type 함수의 괄호 내부에 자료를 넣으면 그 자료가 어떤 자료형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 가능
print(type(a))
print(type(b))
print(type(c))

 

<실행 결과>

123
-178
0
<class 'int'>
<class 'int'>
<class 'int'>

 

 

02. 실수형(Floating-point)
a = 1.2
b = -3.45

print(a)
print(b)
print(type(a))
print(type(b))

 

<실행 결과>

1.2
-3.45
<class 'float'>
<class 'float'>

 

 

03. 실수형의 지수 표현 방식
a= 4.24e4
(e뒤의 숫자만큼 소수점을 앞에서 부터 오른쪽으로 이동)

b= 4.24e-4
(e뒤의 숫자만큼 소수점을 뒤에서 부터 왼쪽으로 이동)


print(a)
print(b)
print(type(a))
print(type(b))

 

<실행 결과>

42400.0
0.000424
<class 'float'>
<class 'float'>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