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내장함수
외부 모듈이 아닌 파이썬에 내장된 함수
print(), input(), len(),......
01. 문자열 내장함수
1. chr() / ord()
- 모든 문자는 각각 문자 코드라고 하는 자신만의 코드 값이 있음
- chr(): 특정 문자의 유니코드 값을 전달하면 해당 문자를 반환
- ord(): 문자를 전달하면 해당 문자의 유니코드 값을 반환
ord("0")
48
ord("1")
49
chr(48)
'0'
chr(49)
'1'
ord("a"), ord("z")
(97, 122)
for i in range(97, 123):
print(chr(i), end =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2. eval()
- 표현식을 문자열로 전달하면 결괏값을 반환
eval("100 + 200")
300
"100 + 200"
'100 + 200'
a = 10
eval("a * 5")
50
eval("min(1, 2, 3)")
1
"[1, 2, 3, 4, 5]"
'[1, 2, 3, 4, 5]'
eval("[1, 2, 3, 4, 5]")
[1, 2, 3, 4, 5]
[1, 2, 3, 4, 5] ##이것과 같은 결과
[1, 2, 3, 4, 5]
02. 숫자 내장함수
1. abs()
- 절대값을 반환
abs(20)
20
abs(-10)
10
2. divmod()
- 전달된 두 인수를 나누어 몫과 나머지를 반환
divmod(10, 3) #10을 3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나머지
(3, 1)
money = 10000
price = 3000
n, remain = divmod(money, price)
print(f"빵을 {n}개 사고 {remain}원이 남았습니다")
빵을 3개 사고 1000원이 남았습니다
3. max() / min()
- 전달된 인수 중 최대값을 반환 / 최소값을 반환
max(1, 10)
10
min(1, 10)
1
lst = [1, 2, 3, 4, 5]
print(max(lst), min(lst))
5 1
4. pow()
- 두 인수의 거듭제곱을 반환
pow(10, 2)
100
pow(10, 3)
1000
pow(10, -3)
0.001
5. round()
- 반올림한 값을 반환
round(1.5)
2
round(1.4)
1
round(1.55, 1) ##소수점아래 첫째자리까지 반환
1.6
6. sum()
- 합계를 반환
- 숫자가 아닌 값은 전달 불가능
lst = [1, 2, 3, 4, 5]
sum(lst)
15
"h" + "e" + "l" + "l" + "o"
'hello'
sum("h", "e") ##숫자 이외는 입력불가
---------------------------------------------------------------------------
TypeError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Cell In[4], line 1
----> 1 sum("h", "e")
TypeError: sum() can't sum strings [use ''.join(seq) instead]
02. 시퀀스 내장함수
1. enumerate()
- 리스트에 저장된 요소와 인덱스가 함께 추출
for idx, element in enumerate(["가위", "바위", "보"]):
print(idx, element)
0 가위
1 바위
2 보
2. range()
- 특정 범위의 값을 생성
- 주로 for문과 함께 사용
- list() 함수로 리스트로 변환해서 사용하기도 함
range(stop)
range(start, stop)
range(start, stop, step)
start <= n < stop
list(range(10))
[0, 1, 2, 3, 4, 5, 6, 7, 8, 9]
list(range(1, 11))
[1, 2, 3, 4, 5, 6, 7, 8, 9, 10]
list(range(0, 30, 5))
[0, 5, 10, 15, 20, 25]
list(range(0, -10, -1))
[0, -1, -2, -3, -4, -5, -6, -7, -8, -9]
list(range(0))
[]
list(range(1, 0))
[]
3. len()
- 객체의 길이(항목의 수)를 반환
lst = ["a", "b", "c", "d"]
print(len(lst))
4
dic = {"a" : "apple", "b" : "banana"}
print(len(dic))
2
len(range(10))
10
len(range(1, 10))
9
4. sorted()
- 오름차순, 내림차순 정렬 결과를 반환
my_list = [6, 3, 1, 2, 5, 4]
sorted(my_list)
[1, 2, 3, 4, 5, 6]
sorted(my_list, reverse = True) ##내림차순정렬
[6, 5, 4, 3, 2, 1]
sorted(my_list, reverse = False) ##reverse는 False가 default값
[1, 2, 3, 4, 5, 6]
my_list ##my_list 변수 자체가 정렬되는 것이 아님(비파괴적)
[6, 3, 1, 2, 5, 4]
my_list = sorted(my_list)
my_list
[1, 2, 3, 4, 5, 6]
5. zip()
- 여러 개의 반복가능객체의 각 요소를 묶어서 반환
- 전달된 객체들의 길이가 다르면 짧은 객체를 기준으로 동작
names = ["james", "emily", "amanda"]
scores = [60, 70, 80, 90]
for name, score in zip(names, scores):
print(f"{name}의 점수는 {score}점 입니다.")
james의 점수는 60점 입니다.
emily의 점수는 70점 입니다.
amanda의 점수는 80점 입니다.
728x90
'01_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45_클래스_심화 (0) | 2025.01.10 |
---|---|
44_클래스 (1) | 2025.01.10 |
42_데이터 입출력 (1) | 2025.01.09 |
41_함수 (0) | 2025.01.08 |
40_제어문>제어문연습(2) (0) | 2025.01.08 |